참조글

고전 명언

basicstone 2013. 12. 15. 18:35

   " 고전 명언 "

         --  고전, 참조 --

0.敏而好學  不恥下問(민이호학, 불치호학) -논어.

   -총명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

0.苟日新  日日新  又日新(구일신 일일신 우일신)- 대학.

  -진실로 날마다 새롭게하고 나날이 새롭게하며

     또 날로 새롭게하라.

0.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第也者 其爲仁之本與

   (군자무본 본입이도생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논어.

 -군자는 근본에 힘써야하니 근본이 확립되면 도가 생겨난다.

    효도하고 공경하는 것은 그 인을 행하는 근본일 것이다.

0.心誠求之 雖不中 不遠矣 未有學養子而后 嫁者也

   (심성구지 수부중 불원의 미유학양자이후 가자야) -대학.

 -마음으로 진실로 구하면 비록 적중하지 않더라도 멀지는 않을

    것이다. 자식 기르는 것을 배운 뒤에 시집을 가는 사람은 없다.

0.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 果能此道矣 雖愚必明 雖柔必强

  (인일능지 기백지 인십능지 기천지 과능차도의 수우필명 수유필강)   

   중용.

 -남이 한번에 능하면 나는 백번을 하고, 남이 열번에 능하면 나는

   천번을 한다. 과연 이 방법으로 한다면 비록 어리석더라도 반드시

   밝아지고, 비록 유약하더라도 반드시 강해진다.

0.知人者智 自知者明 勝人者有力 自勝自强 知足者富 强行者有志-노자

   (지인자지 자지자명 승인자유력 자승자강 지족자부 강행자유지)

 -남을 아는 자는 지혜롭고 자기를 아는 자는 현명하다.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있고, 자기를 이기는 자는 굳세다. 만족할 줄 아는 자는

  넉넉하고, 굳세게 행하는 자는 듯이 있다.

0.先難而後獲 可謂仁矣 (선난이후획 가위인의) -논어.

 -어려운 것을 먼저하고, 얻는 것을 뒤에 하면 인이라고 할 수 있다.

0.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共之 -논어.

   (위정이덕 비여북진 거기소 이중성공지)

 -덕으로 정치를 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북극성이 제 자리에 있으면

    모든 별들이 그에게로 향하는 것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