導 人 法
" 導 人 法 '
-- 퇴계 선생, 活人心方. 참조 --
0.고치삼십육(叩齒三十六) : 눈을 감고 마음을 가다듬어 편하게 앉는다.
(반가부좌). 한동안 고요에 잠겨 있다가 두 손으로 곤륜(후두 부분)을
감싸듯하고 위, 아랫니를 서른 여섯번 마주친다.
0.천고이십사(天鼓二十四) : 두 손을 머리 뒤로 돌려 깍지를 끼고 조용히
숨을 쉬는데, 숨소리가 들리지 않게 찬찬히 아홉번 호흡을 한다.
이 방법이 끝나면 깍지 낀 손을 그대로 둔 채, 두 팔을 앞으로 내밀고
머리를 감싸듯하며 손 목이 안 쪽 귀를 막게 된다. 이 동작을 신중히
하고 가운데 손가락으로 귀 뒤를 튕기기도 한다. 이것을 천고
울리기라 하며 스물 네번 반복 한다.
0.적룡 교수혼(적룡= 혀) : 혀를 입안에서 휘 저어 이의 구석 구석을
닦아내듯 서른 여섯 번을 돌리면, 그 동안에 진액(침)이 고이는데
입 안에 그득하게 고이면 고루 세번 나누어 목으로 넘긴다.
0.폐기악수열(閉氣握手熱) : 침을 만들어 삼킨 다음에는 다시 반좌를
하고 숨을 멈추어 폐기했다가 코로 조금씩 맑은 기를 들이 마신다.
두 손 주먹을 쥐고 위로 추켜 올린 다음 화끈해지도록 폐기와 호흡을
계속한다. 폐기하는 시간이 조금씩 길어 지면서 열기를 느끼게 한다.
0.배마후정문(背摩後精門) : 먼저 두 손을 허리 뒤로 돌려 허리 뒤 신당
(신장) 근처를 서른 여섯번 꽉 주무른다. 이 방법을 마치고 다시 숨을
죽여 폐기를 한다. 이어 마음 속으로 화기를 배꼽 아래 단전으로
내려 보내고 열기를 돌게 한다. 코로 서서히 새 氣를 들이 마시고
한 참 폐기했다가 다시 내 보내면서 열기를 단전으로 보내는 방법을
반복 한다.
0.저두반족빈(低頭攀足頻) : 머리를 낮추어 허리를 구부리고 두 손으로
발바닥 중심부를 잡고 끌어 당긴다. 숨을 깊게 참으면서 이 동작을
열세번 정도 계속 한 다음에 다시 반좌의 자세로 앉는다.
이때 목구멍 속에서 물이 솟아 나오는 기분으로 입안에 침이 고이는데
이것을 적룡 교수혼에서 설명 한대로 세번 나누어 삼킨다.
-- 이렇게 해서 도인법의 과정을 마치게 되는데, 끝 마무리 방법으로
적룡 교수혼을 세번 되풀이 하면 된다.
어깨와 몸을 스물 네번 추키고 흔들어 주면 물레를 스물 네번 돌려 주는 것 같아 기맥의 소통이 잘 된다.